3. 퍼머컬처 12가지 디자인 원칙: 두번째 이야기(7-12원칙)

퍼머컬처 12가지 디자인 원칙
(c) 2023. greencultureclub . All right reserved <permaculture12principles>
  • 설계 원칙의 기본적인 배경
  • 원칙1 : 관찰하고 상호작용하라 (Observe and Interact)
  • 원칙2. 에너지를 붙잡아 저장하라(Catch and Store Energy)
  • 원칙3. 소출을 얻으라(Obtain a Yield)
  • 원칙4. 자기규율을 확립하고 피드백을 받아들여라 (Apply Self-regulation and Accept Feedback)
  • 원칙5. 재생 가능한 자원과 서비스를 사용하고 소중히 여겨라 (Use and Value Renewable Resources and Services)
  • 원칙6. 쓰레기를 만들지 마라 (Produce No Waste) 

퍼머컬처 12가지 디자인 원칙 이란

퍼머컬처 12가지 디자인 원칙은 퍼머컬처를 실행하는데 알맞은 지침을 제공하여 일반 사람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설계 개념을 구현한 것입니다.

이 원리들은 의미 있는 아이콘과  다윗의  속담과 함께 설명되어 있습니다. 처음 여섯 가지 원칙은 대부분 요소, 유기체 및 개인의 상향식 관점에서 시스템을 고려하였고 두 번째 6가지 원칙은 시스템 자체 조직화 및 공동 진화를 통해 나타나는 패턴과 관계를 강조하고 있습니다.

그러면 이제 퍼머컬처 디자인의 12가지 디자인 원칙중 후반부 7원칙부터 12원칙을 간단히 알아보겠습니다.

다음 내용은 퍼머컬처의 공동 창시자인 데이비드 홈그렌(David Holmgren)의 저서인  <퍼머컬처:지속 가능성을 넘어서는 원칙과 경로 ‘Permaculture: Principles and Pathways Beyond Sustainability, 2002> 를 간단히 번역 요약했습니다

원칙7

7. 패턴에서 시작해 세부사항으로 설계해가라 (Design from Patterns to Details)

나무만 보고 숲을 보지 못한다.

자연과 사회에서 관찰할 수 있는 패턴의 공통성은 우리가 보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 맥락과 규모의 패턴을 사용하여 다른 맥락에서 디자인할 수 있도록 합니다. 유기체의 내부 작용에서 전체 생태계에 이르기까지 자연의 모든 측면에서 우리는 사물 간의 연결이 사물 자체만큼 중요합니다. 따라서 기능적이고 자율적인 디자인의 목적은 각 세부적인 요소가 필요를 충족하고 다른 요소의 제품을 수용하는 방식으로 배치하는 것입니다.

이 원칙은 보다 밀접하게 통합된 시스템에서 요소를 함께 끌어들이는 다양한 유형의 관계와 이러한 관계로부터 이익을 얻기 위해 식물, 동물 및 사람의 커뮤니티를 설계하는 개선된 방법에 보다 밀접하게 초점을 맞춥니다.

아이콘의 의미: 방사형 디자인의 거미줄 위의 거미는 명확한 패턴이 있습니다. 자세히 들여다보면 그 세부 조직 패턴은 항상 다양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퍼머컬처 디자인의 가장 널리 적용되는 구역과 지구 계획을 연상시킵니다. 예를 들면 농가와 같은 활동 센터 주변에 사용 강도 구역을 지정하면 그에 수반되는 나머지 시스템을 배치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마찬가지로 태양, 바람, 홍수 및 화재와 같은 환경 요인은 농장 계획 및 필요에 따라 비슷한 구역에서 고려될 수 있습니다.

속담의 의미: ‘나무만 보고 숲은 보지 못한다’라는 속담은 세부 사항이 시스템의 본질에 대한 인식을 방해하는 경향이 있음을 상기시킵니다. 가까이 다가갈수록 더 큰 그림을 이해할 수 없습니다. 숲을 보려고 노력해야합니다

원칙8

작가 rawpixel.com 출처 Freepik

8. 분리하기보다는 통합하라 (Integrate Rather than Segregate)

백지장도 맞들면 낫다.

분리하기보다는 통합하라는 의미는 밀접하게 통합된 시스템에서 요소를 함께 끌어들이는 관계와 이러한 관계로부터 이익을 얻기 위해 식물, 동물 및 사람의 커뮤니티의 관계를 중요시하여 설계하는 방법에 초점을 맞춥니다.

Mollison은 다음과 같이 말했습니다. ‘기능적이고 자율적인 디자인은 각 요소가 필요에 부응하고 다른 요소의 제품을 수용하는 방식으로 요소를 배치하는 것입니다.’

유기체의 내부 작용에서 전체 생태계에 이르기까지 자연의 모든 측면을 살펴보면 사물 자체만큼이나 사물 간의 연결이 중요함을 알 수 있습니다. 그동안 우리는 보통 세부 사항의 복잡성에는 주목하면서도 관계의 복잡성은 무시하는 문화적 사고방식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요소들을 분리하는 디자인을 당연하게 여기고 설계에 접목시키는 방법을 주로 사용해왔습니다.

우리는 생태 및 사회 공동체의 관계를 통해 밀접하게 통합된 시스템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유기적 성장을 효과적으로 발전시키기 위해 자기 조직화를 하고 생태학적, 사회적 관계를 예측하고 디자인해야 합니다. 식물, 동물, 토공 및 기타 인프라를 올바르게 배치함으로써 수정 및 관리에 사람이 가끔씩 투입하여 운영할 수 있도록 생태계 스스로 거의 지속 가능한 시스템을 개발할 수 있습니다.

어쩌면 통합 시스템 요소 간의 연결 또는 관계는 일부는 약탈적이거나 경쟁적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어떤 다른 것들은 협력적이거나 심지어 공생적입니다. 이러한 모든 유형의 관계는 강력한 통합 시스템 또는 커뮤니티를 구축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지만 퍼머컬처는 경쟁적이고 약탈적인 관계보다 상호 이익이 되는 공생 관계 구축을 강력하게 강조합니다.

아이콘의 의미:  통합 시스템을 형성하는 사람 또는 요소의 구성원이 원을 그리고 있는 모습을 위에서 아래로  하향식으로 본 모습입니다. 가운데에 비어 있는 구멍은 비어있지만  요소들이 원을 그려 조직이 만들어져 발생하게 된 것입니다. 이렇게 조직된 형태와 관계의 특성이 만들어진다는 개념을 나타냅니다. 그리하여 유기체의 내부 작용에서 전체 생태계에 이르기까지 자연의 모든 측면에서 우리는 사물 간의 연결이 사물 자체만큼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속담의 의미: 백지장도 맞들면 낫다는 속담은 혼자 하는 행동보다 함께하는 행동이 실제 이익을 준다는 사실을 일깨웁니다. 이뿐 아니라 전체가 부분의 합보다 큰 통합체계가 보여주는 시너지 효과도 일깨웁니다.

원칙9

Photo by João Costa on Unsplash

9. 작고 느린 해결책을 사용하라 (Use Small and Slow Solutions)

크면 클수록 더 크게 넘어진다 / 느리게 그리고  꾸준해야 이긴다

퍼머컬처 디자인은 시스템은 실용적이고 에너지는 효율적으로 최소 규모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가장 작은 단위로 설계되어야 합니다 인간적이고 민주적이고 지속 가능한 사회의 기준은 “인간적” 규모와 능력입니다.

텃밭을 가꾸고 고장 난 기기를 수리하고 건강을 유지하는 등 자급적 속성을 가징 일을 하고 있다면 이 원리를 매우 잘 적용하고 있는 것입니다. 지역에 있는 작은 기업에서 물건을 구입하거나 지역공동체와 환경문제에 참여하는 일도 마찬가지다. 또한 물질과 사람이 체계와 체계 사이를 이동하는 속도를 가장 느린 속도까지 낮춰야 합니다. 속도를 줄이면 총 이동량이 줄어서 자급과 자율에  이용할 수 있는 에너지가 늘어날 것입니다. 어떤 길을 가는데 자동차를 타고 가다가 걸어서 간다면 보이지 않던 사물들이 보이게 되는 것처럼 생활의 속도를 줄이면 전에 보이지 않았던 새로운 세계에 눈길이 향하게 될 것입니다

‘작은 것이 아름답다’라는 밈이 수십 년 동안 인기를 끌었지만 ‘느린 것’도 멋지다는 생각은 더디게 등장했습니다. 

아이콘의 의미: 나선형의 달팽이집은 조금씩 자라지만 등에 지고 다닐 만큼 작습니다. 부드러운 발이 있는 달팽이는 어떤 지형이라도 스르르 잘 넘어갑니다. 달팽이는 농부에게 골치거리이지만 작은 규모와 느린 속도는 이 원칙을 잘 설명하고 있습니다.

속담의 의미:  1. ‘크면 클수록 더 크게 넘어진다’라는 속담은 지나친 성장의 단점을 인식하고자 하는 의도입니다 2. ‘느리고 꾸준해야 이긴다’라는 속담은 인내를 권장하고 있으며, 우리가 어떤 시스템을 접목시키거나 더 나은 결과를 보려고 할 때에는 그만큼 인내를 가지고 기다려야 한다는 점을 알려줍니다. 이것은 자연법칙, 사회법칙에서 얻은 지혜이며 진실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원칙10

Photo by Alexander Grey on Unsplash

10. 다양성을 활용하고 소중히 여겨라 (Use and Value Diversity)

계란을 한 바구니에 모두 담지 마라

자연, 문화, 퍼머컬처에서 다양성의 역할과 가치는 복잡하고 역동적이며 때로는 모순되는 것처럼 보일때도 있습니다. 다양성은 한편으로는 다양성과 가능성, 다른 한편으로는 생산성과 힘 사이의 자연의 균형과 긴장의 결과로 볼 필요가 있습니다. 이 원칙은 다른 여러 원칙과 함께 강력한 요소가 시스템을 지배하게 되는 자연과 사회의 경향에 균형을 맞추는 역할을 합니다.

생물 다양성의 개념은 자연 환경의 야생 종에 국한되지 않습니다. 그것은 또한 새로운 생태 공동체의 야생 종뿐만 아니라 인류의 농업 역사 과정에서 개발된 경작 작물 및 가축 품종의 특별한 다양성을 포함합니다.

에너지 하강에 대한 부적절하고 파괴적인 반응은 인간과 생물 다양성 모두에 연속적인 영향을 미치겠지만, 장기적으로 에너지 하강은 다양성 파괴의 경제 엔진을 늦추고 새로운 지역 및 생물 지역의 다양성을 자극할 것입니다. 많은 환경 및 사회 운동이 이전의 생물학적 및 문화적 다양성만을 인정하는 반면, 퍼머컬처는 우리가 물려받은 자연과 문화의 용광로에서 새로운 생물 지역적 다양성을 창출하는 데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습니다.

아이콘의 의미:  아이콘인 가시 부리새와 벌새는 둘 다 긴 부리와 공중 정지 능력을 가지고 있어 길고 좁은 꽃에서 꿀을 빠는데 적합합니다. 새와 꽃 사이의 이 놀라운 공진화적 적응은 자연의 형태와 기능이 어떻게 특화되는지를 잘 보여줍니다. 자연과 인류의 형태, 기능, 상호 작용은 엄청나게 다양하며, 이 다양성은 체계의 복잡성을 진화시키는 원천이 됩니다 

속담의 의미: ‘계란을 한 바구니에 담지 말라’라는 속담은 다양성이 자연과 일상의 변화에 대한 대응책이라는 것을 일깨워줍니다

원칙11

Photo by Nick Russill on Unsplash

11. 가장자리를 활용하고 주변부를 소중히 여겨라 (Use edges and Value the Marginal)

잘 다져진 길이 꼭 옳은 길은 아니다

자연의 ‘가장자리’의 예는 다음과 같습니다. 

캐노피가 삼림의 공터와 만나는 곳, 공기와 햇빛이 만나는 곳, 무척추동물, 어류 및 조류 생활로 가득 찬 하구의 비옥한 경계면에서 바다와 강이 육지를 만나는 곳, 하천의 둑이 물의 가장자리를 만나고 홍수 시 퇴적된 진흙과 모래로 비옥도가 쌓이는 곳에서  평야와 물이 만나는 곳, 범람하고 충적토를 포획하는 곳 등입니다.  

자연의 가장자리에서는  공기, 불, 태양 및 물과 같은 요소 간의 상호 관계를 증가시켜 다양성을 증가시킵니다. 이 현상은 모든 형태의 놀라운 번식력으로 생명의 기회를 증가시킵니다. 

인간 사회에서 가장자리는 문화적 다양성이 있는 곳입니다. 자유로운 사상가와 소위 ‘대안’ 사람들이 번성하는 곳입니다. 새로운 아이디어가 개발되고 영원한 지혜가 합당한 존경을 받는 곳이 될 수 있습니다. 이 원리는 보이지 않는 측면뿐만 아니라 가장자리의 가치와 기여도를 인식하고 보존해야 할 뿐만 아니라 확장하여 생산성과 안정성을 높여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어떤 분야이든지 간에 가장 흥미로운 사건이 발생하는 곳은 시스템 또는 매개체의 가장자리에 있다는 점을 기억해야 합니다. 가장자리를 문제가 아닌 기회로 보는 디자인은 성공하고 적응할 가능성이 더 큽니다. 그 과정에서 우리는 기능이나 시스템에 주변적으로만 기여하는 요소의 가치를 보기 위해 ‘한계’라는 단어와 관련된 부정적인 의미를 뛰어넘을 수 있습니다

아이콘의 의미: 전경에 강이나 도로가 있고 수평선 너머로 떠오르는 태양의 아이콘은 울타리보다는 들판, 황혼보다는 낮, 다수의 정치에 대한 우리의 문화적 집착에도 불구하고 가장자리로 구성된 세계를 보여줍니다. 모퉁이를 돌거나 지평선 너머에 무엇이 오고 있는지 우리의 눈을 멀게 하는 창의적인 변두리가 아닙니다.

속담의 의미: 잘 닦여진 길이라고 해서 올바른 길에 있다고 생각하지 말라는 속담은 가장 흔하고 명백하며 대중적인 것이 반드시 가장 중요하거나 영향력이 있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상기시켜 줍니다.

원칙12

Photo by Ray Hennessy on Unsplash

12. 창조적으로 변화를  활용하고 그에 반응하라 (Creatively Use and Respond to Change)

비전은 현재를 보는 것이 아니라 미래의 모습을 보는 것입니다.

이 원칙에는 두 가지 맥락이 있습니다. 하나는 의도적이고 협력적인 방식으로 변화를 활용하도록 설계하고, 다른 하나는 우리의 통제나 영향력을 벗어난 대규모 시스템 변화에 창의적으로 대응하거나 적응합니다.

경작 체계 내에서 생태적 천이의 가속화는 퍼머컬처의 반복과 실행에서 이 원칙을 가장 일반적으로 표현하는 것이며 첫 번째 맥락을 설명합니다. 예를 들어, 토양을 개량하고 느리게 자라는 더 가치 있는 식용 나무를 위한 은신처와 그늘을 제공하기 위해 빠르게 자라는 질소 고정 나무를 사용하는 것은 개척자에서 수명이 긴 가치 있는 나무 작물이 지배하는 절정 시스템에 이르는 생태적 천이 과정을 반영합니다. . 나무 작물 시스템이 성숙함에 따라 사료 및 연료용 질소 고정 제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점진적으로 제거하는 것이 프로세스의 일부입니다. 토양에 있는 개척자 종의 씨앗은 자연재해 또는 토지 용도 변경(예: 해마다 변화되는 작물의 단계) 후 미래에 시스템을 재구축하기 위한 보험을 제공합니다.

퍼머컬처는 자연생활 시스템과 인간 문화의 지속 능력에 관한 것이지만, 이 지속 능력은 역설적으로 유연성과 변화에 의해 크게 좌우됩니다. 소규모의 행동이나 패턴들, 그의 빠른 변화 짧은 수명 등은 실제로 커다란 시스템의 안정에 도움을 줍니다. 우리는 반복되는 역사적 흐름 속에 살고 있습니다. 안정성과 변화 사이의 역동적인 균형에 대한 맥락적이고 체계적인 감각은 무작위가 아닌 진화적인 디자인에 기여합니다.

아이콘의 의미: 애벌레의 변신인 나비나 나방은 위협적이기보다는 점차 발전하는 적응과 변화의 개념을 상징합니다.

속담의 의미:  ‘비전은 사물을 있는 그대로 보는 것이 아니라 미래의 모습을 보는 것’이라는 속담은 변화를 받아들여 활용하는것이 중요함을 일깨웁니다. 또한 변화에 대한 이 마지막 설계 원칙은 관찰에 대한 첫 번째 원칙을 연결하는 고리입니다.

퍼머컬처의 12가지원칙중 원칙1~원칙6과 퍼머컬처에 대한 정의는 다음 페이지에 정리되어 있습니다. 다음 링크를 클릭하여 따라가 보시길 바랍니다

https://greencultureclub.xyz/1-%ed%8d%bc%eb%a8%b8%ec%bb%ac%ec%b2%98%eb%9e%80-what-is-permaculture/